서울복지타임즈 이재연 기자 | 경상남도는 지난 21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2025년 청년친화도시 추천 시군 선정 평가위원회’를 개최하고 김해시, 양산시, 하동군 등 3곳을 국무조정실 2차 청년친화도시에 추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국무조정실은 '청년기본법' 제24조의6에 따라 청년의 참여를 바탕으로 청년이 살기 좋은 환경과 혁신·성장 동력을 갖춘 지역을 ‘청년친화도시’로 지정하고 있다. 올해는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와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중 3곳을 지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도시에는 5년간 지정 자격이 부여되며, 2년간 국비 5억 원과 지방비 5억 원 등 총 10억 원의 재정 지원과 함께 정부 차원의 컨설팅·정책자문·교육 등 행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지난해 1차 지정에서는 거창군이 서울 관악구, 부산 부산진구와 함께 전국 3개 지자체로 선정돼 농촌형 청년친화도시의 모범사례로 높이 평가받았다.
이번 2차 공모에는 김해시·양산시·하동군이 신청했다.
△김해시는 ‘청년과 함께 비상하는 도시, 청년 활주로 김해’를 비전으로 청년 공유공간 특화사업과 청년과 지역을 연결하는 생활·교류 프로젝트 등을, △양산시는 ‘청년이 모여 일하고 즐기며 함께 나아가는 청년친화도시 양산’을 비전으로 청년센터, 공유형 주거공간 조성 등을, △하동군은 ‘청년이 원하는 대로, 하동’을 비전으로 농식품·바이오 벤처지원센터, 북 케이션 관광 스테이 등을 주요 사업으로 신청했다.
도는 청년정책 전문가, 청년대표, 학계 인사 등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지역맞춤형 청년정책’, ‘청년참여 확산’, ‘정책 거버넌스 강화’ 등 국무조정실의 3대 지정 전략(지역맞춤·청년참여·확산거점)을 중심으로 종합 평가를 진행했다. 민·관·학 전문가와 청년이 함께 정책의 실현 가능성, 확산성, 지속성 등을 검토하고 각 시군의 강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한미영 도 청년정책과장은 “지난해 거창군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청년이 일하고 머무를 수 있는 도시를 확산시키기 위해 시군과 함께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며 “김해·양산·하동이 각 시군의 차별화된 강점을 살려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도약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국무조정실은 10월 27일까지 전국 시도의 추천을 받아, 11월 중 서면평가·발표평가·현장실사를 거쳐 12월에 최종 3개 청년친화도시를 지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