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복지타임즈 이재연 기자 | 음성군은 13일 오전 10시 삼성면 양덕리 일원에 위치한 충청북도 기념물 ‘음성 망이산성’의 학술자문회의를 실시하고, 13시 30분부터 조사 현장을 일반에게 공개하는 현장공개회를 개최했다.
음성 망이산성은 삼성면 마이산 정상에 위치한 내성과 외성의 2중 구조로 축조된 석축산성으로, 외성은 내성을 감싸듯 축조됐으며 외성의 총길이는 약 2080m이다.
이 산성은 경기도 남동부 지역과 충청도 북부 일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산성과 봉수대가 함께 존재하고 있어, 시대에 따라 군사적 방어와 봉수 역할을 했던 복합 유적으로 학술 가치가 매우 높다.
2003년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 2023년에는 산성 내 망이성 봉수 유적이 사적으로 지정됐다.
이번 시굴조사는 망이산성의 전체적인 현황을 비롯해 초축(初築) 시기와 주체 등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고 산성 내부에 잔존하고 있을 관련 시설들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
조사 결과, 그간 명확한 범위를 알 수 없었던 내성의 토축 성벽을 확인했으며, 원저단경호 등 확인된 유물을 토대로 망이산성이 한성백제기에 초축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 밖에도 성내에서 수혈 등 다수의 유구가 확인된바, 향후 연차별 정밀 발굴조사를 실시해 명확한 성격을 규명해 나갈 예정이다.
군 관계자는 “앞으로도 연차 발굴조사를 통해 사적으로의 승격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망이산성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보수 정비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