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복지타임즈 이재연 기자 | 울주군의회는 14일 사실상 중단된 ‘울주형 스마트팜 단지 조성사업’ 현장방문, 사업추진 과정 전반을 점검하고, 부지 활용 방안을조속히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또한 울주군이 사업 전환을 검토 중인 소규모 거점형 스마트팜 사업에 대해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울주형 스마트팜 단지 조성사업은 지난 2019년부터 서생면 명산리 488 일원 옛 영어마을 부지를 활용해 추진된 사업이다.
처음에는 국비 공모사업인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 공모사업’으로 진행하려 했으나, 선정되지 않자 군 자체 사업으로 전환됐다.
이후 또다시 국비 공모사업으로 바뀌었으며, 세 차례의 공모에서 탈락하고, 정부 공모도 올해로 마감되면서 사업 추진을 사실상 중단했다.
이 과정에서 공모사업 신청을 위한 부지의 추가 매입, 도로 개설 등 기반시설 조성에 80억원에 가까운 예산이 추가 투입된 상황이다.
현재 울주군은 국·시·군유지를 활용한 소규모 모델의 거점형 스마트팜 사업으로의 전환을 검토 중이다.
이와 관련 울주군의회 경제건설위원회는 이날 현장방문을 통해 사업 추진 전환 배경, 예산 집행 내역, 기존 부지 활용 계획 등을 집중적으로 질의하며, 추진 상황 전반을 점검했다.
소속 위원들은 . “막대한 예산이 추가 투입된 만큼, 과거 영어마을처럼 실패한 정책의 전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주민 수요에 부응하는 실효성 있는 활용방안을 조속히 마련해달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국·시·군유지를 활용한 소규모 모델의 거점형 스마트팜 사업으로 전환하려는 집행부의 방침에 “사업 전환 검토가 성급하다.
신중하고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경제건설위원회는 이날 스마트팜 단지 외에도 상북면 궁근정리 반골소하천 정비사업 현장을 방문, 재해 예방을 위한 기반시설 개선 상황을 살폈다.
행정복지위원회도 청량읍 분회경로당 신축공사 현장, 온산문화체육센터 주차장 확장공사 현장, 삼동파크골프장 조성사업 현장을 차례로 방문해 군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체육 기반 시설 점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