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복지타임즈 이재연 기자 | 용인특례시는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농가의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해 ‘농작업 안전보건관리 컨설팅’을 사전 신청한 100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전국 20개 시군에서 시범 운영하고 있는 이번 프로그램은 전문성을 갖춘 농작업 안전관리자가 직접 농업 현장을 방문해 작업별 위험성을 진단하고 맞춤형 상담을 무료로 제공한다.
컨설팅은 3단계로 진행되며, 단계별 완료 시마다 농작업 안전물품을 제공해 농가의 안전 의식을 높이고 실질적인 개선을 돕고 있다.
8월 기준으로 100농가를 대상으로 2단계 컨설팅을 마쳤으며, 9월 현재까지 3단계 컨설팅이 농가 56곳에서 진행됐다. 10월까지 전 과정을 모두 마무리할 계획이다
컨설팅을 진행하면서 전기 누전 위험이 있는 곳에 소화기 비치와 방우 콘센트 설치, 농기계 야간 운행 시 반사판 부착, 농약 정리·보관 요령 안내 등 다양한 안전 개선 활동이 이뤄졌다.
시는 또, 외국인 근로자도 스스로 안전수칙을 지킬 수 있도록 10개국 언어로 번역된 전자 자가점검 체크리스트를 제작해 배부했다.
모현읍의 한 농업인은 “처음에는 시간을 따로 내서 컨설팅을 받는 것이 번거롭게 느껴졌지만, 직접 안전 관련 설명을 듣고 개선하고 나니 안전사고에 대비해 안심이 된다”며 “이번 컨설팅을 통해 많은 도움을 받아 감사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상일 시장은 “컨설팅을 받은 농가가 주변에 추천할 만큼 컨설팅 만족도가 높다고 들었다”며 “앞으로도 농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농작업 안전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