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복지타임즈 이재연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에너지 자립형 지역으로 도약하기 위해 연구기관·학계·민간 전문가와 힘을 모아 전북형 분산에너지 모델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도는 24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RE100 에너지솔루션 얼라이언스’ 분산에너지 분과 제3차 정기회의를 열고, 전북형 분산에너지 특화 모델과 신규 정책 과제를 공유하며 실행 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전북형 특화 모델 제안 ▲신규 정책 과제 발굴 현황 ▲실행 전략 검토 등이 주요 안건으로 다뤄졌다. 특히 지난 5개월간 진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연구용역’을 통해 지역 산업 구조, 주민 수용성, 계통 여건 등을 종합 반영한 맞춤형 모델이 제시됐다.
아울러 분산에너지 분과에서는 올해 발굴한 새로운 정책 과제를 공유하고, 실현 가능성과 실행력 제고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전북자치도는 회의 결과를 연구용역에 최종 반영해 향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과 활성화를 위한 내실 있는 과제 수행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한국전기연구원 김태진 박사가 분산에너지 정책 전망과 전북의 전략 방향을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 참석자들과 함께 미래 추진 과제를 점검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신원식 전북자치도 미래첨단산업국장은 “재생에너지 기반 분산에너지는 에너지 지산지소 실현의 핵심 과제이자, 기후·에너지 위기를 동시에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정책”이라며 “이번 회의에서 제안된 모델과 과제가 지역 발전으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