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1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장애인

‘K-탑티어 석‧박사 프로젝트’경북에 모여든 잠재력, 미래 열다!

프로젝트 추진 발표회 개최로 경북형 최고급 인재 양성 본격 선언

 

서울복지타임즈 이재연 기자 | 경상북도는 20일 포항공과대학교 포스코국제관에서 ‘K-탑티어 석‧박사 프로젝트’ 추진 발표회를 열고, 경북형 최고급 연구 인재 양성을 위한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이날 발표회에는 1기 장학생 18명을 비롯해 경상북도, 포항공대, 국립경국대 관계자 등이 참석해 사업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장학생들의 연구 목표와 지역 정주 의지를 발표하는 등 향후 운영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지난 9월 선발된 1기 장학생은 총 18명으로 포항공과대학교 과학기술인재 15명, 국립경국대학교 한류 인재 3명이 포함됐다. 이 중 박사 과정은 8명, 석박사 통합 과정은 10명이며, 수도권 및 다른 지역 출신이 11명으로 전체의 60%를 차지한다.

 

대부분 서울 주요 대학과 KAIST 등 국내 최상위권 대학 출신으로, 앞으로 경북의 연구기관과 대학을 중심으로 전문 연구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총사업비 736억 원 규모로 향후 9년간 추진되며, 전국의 우수 인재를 경북으로 유치해 지역에서 성장시키고 취업과 창업을 통해 정주하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수도권에 집중된 연구 인력과 열악한 지역 연구 기반은 경북의 미래 성장에 제약 요인이 되어 왔다. 특히 학령인구 감소와 청년 유출로 지역대학의 경쟁력이 약화 되면서, 경북이 강점을 지닌 과학기술과 한류 문화 분야의 잠재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했다.

 

경상북도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시적인 장학 지원을 넘어 ▴국내외 인재 유치 ▴지역 정주 기반 마련 ▴지역 취‧창업 연계까지 단계별로 추진한다.

 

박사 또는 석박사 과정 최대 5년 동안 매월 500만 원 이상의 장학금을 지원하며, 수혜 학생은 장학금 지원 기간에 상응하는 최대 3년간 경북 내 취업 또는 창업 활동을 통해 지역에 정주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지역의 대학과 연구기관에 소속되어 장기적 연구 생태계를 형성하고, 경북의 핵심 산업 분야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경국대학교 한류 인재 석박사 통합 과정 정이준 학생은 “전통주와 같은 지역의 문화 자산을 기술적으로 연구하고 사업화하여 경북의 문화산업이 첨단기술과 융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지역의 자원을 토대로 산업 간 융복합을 실현하고, 경북을 기반으로 한 문화산업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이상수 경상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장학 지원을 넘어, 우수 인재의 정주와 연구 성과 창출까지 연계하는 지방정부의 획기적인 인재 양성 정책”이라며, “도 차원의 지속적인 지원과 안정적인 제도로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