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복지타임즈 이재연 기자 | 하동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이 GIAHS(세계중요농업유산)에서 인증 받은 것을 계기로, 하동군이 재첩 산업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재첩 산업 발전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군은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 비전과 단기 실행 과제를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군에 따르면,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은 국내 어업 분야 최초로 UN FAO(유엔 식량농업기구)로부터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인증받았다.
하동 섬진강 재첩은 최근 tvN에서 인기리에 반영된 ‘폭군의 셰프’에도 등장해 그 존재감을 자랑했다. 극 중 연지영(임윤아)은 시금치 된장국 ‘청량한 감칠맛’의 핵심 재료로 하동 섬진강의 재첩을 활용해 대왕대비마마의 추억과 입맛을 되살렸다.
군이 제시한 장기 정책 방향은 ▲재첩 채취 전통 유산의 보존 및 전승 ▲자원 회복 및 생태환경 관리 ▲문화관광 융복합 ▲고부가가치 산업화 ▲유통 구조 혁신 등 크게 다섯 축으로 구성된다.
◇재첩 채취 전통 유산의 보존 및 전승 = 전통 섬진강 하구 손틀어업 채취 방법을 지키기 위해 재첩 어업의 기록화, 디지털 아카이빙(컴퓨터 시스템에 기록보관 및 관리), 어업인 명인 인증제, 전통어업 전승 학교의 운영 등 다양한 노력을 펼칠 예정이다.
전통적인 채취 방법을 통해 청정 자연유산을 보호하며, 재첩 산업이 하동의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할 방침이다.
국가중요어업유산관 하동 유치에도 박차를 가하여, 우리 재첩 문화와 어업 문화를 체계적으로 보존하는 거점 조성을 추진한다.
◇자원 회복 및 생태환경 관리 = 지속적이고 과학적인 생태환경 관리로 재첩 자원을 복원하고, 청정 섬진강의 생태계를 적극 보존하고자 △재첩 서식지 실태조사 △보호수면 확대 △산란기 집중 보호 △우량종자 방류 및 이식 등 자원관리 프로그램도 내실 있게 운영할 계획이다.
지역 어업인의 생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재첩 자동 선별기 도입, 스마트 유통가공시설 구축 등 미래형 기반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문화관광 융복합 = 재첩을 주제로 한 생태 체험 관광자원도 개발·확장한다. 재첩을 단순 먹거리와 생태 자원에 그치지 않고, 지역의 정체성을 담은 핵심 관광 콘텐츠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생태 체험 관광프로그램, 재첩 스토리텔링 콘텐츠, 재첩길 및 재첩 축제 등 차별화된 관광 상품을 통해 세대별·취향별 관광 요구에 대응한다.
특히 하동군 여름 대표 축제로 자리 잡은 재첩 축제는 공연, 마켓, 체험 등을 결합한 체류형 축제로 육성할 방침이다. 방문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축제로 만들어 ‘하동에서만 할 수 있는’ 특별한 관광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고부가가치 산업화 및 유통 구조 혁신= 무엇보다 재첩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기능성 가공식품, 프리미엄 브랜드 상품 개발을 지원하고, 청년·여성 창업과 R&D 센터 설립 등 산업 육성에도 최선을 다한다.
아울러 재첩 원산지 명예감시원 운영, 섬진강 재첩 지킴이 사업 등을 통해 불법 채취와 유사품 유통을 사전 차단하고, 프리미엄 산지 직송 유통망 확대 및 온라인 판로 개척도 병행한다.
군 관계자는 “재첩 산업이 하동의 경제·생태·문화의 핵심 축임을 인식하고, 전통 보존은 물론 미래 산업화에 기반한 일자리와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며, “모든 군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정책 하나하나를 꼼꼼히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하동군은 이번 종합계획 수립으로 지역 어업인, 전문가, 주민, 관광객 모두가 공감하는 재첩 산업의 새로운 미래 비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말까지 분야별 세부 과제를 확정하고, 단계별 추진 계획에 따라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행할 방침이다.











